변화된 환경에서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전략-----2012년 서울대 ACPMP 자료집 오랫만에 책에 나의 글이 실렸다 작년에 한양대 해외간설전문가 과정에서 준비한 논문 "변화된 환경에서 중소건설사의 해외진출전략"을 서울대 건설산업최고전략과정 동창회보 2012년 1월 호에 실린 것이다. 막상 자료로 받아 보니 여러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지만 그래도 세상에 널리 퍼.. 자작시, 자작 수필 2012.02.03
중소건설사의 해외건설 진출전략 ---졸업논문 "한양대 해외건설 전문가 과정을 마치며 작성한 졸업논문" 중소건설기업의 해외건설시장 진출전략 2011년 11월 한양대학교 해외건설 전문가 과정 (주)경보기술단 엄재석 중소건설사의 해외건설 진출전략 1.서론 국내 건설시장은 오랜 성장시대를 마감하고 2007년을 전후하여 성숙단.. 자작시, 자작 수필 2011.12.13
각한재 블로그 20만명 돌파----Focus 6월 20일 각한재 블로그가 20만명의 누적 방문객을 돌파했다고 지난 주에 지하철 신문 "포카스"의 "당신을 보여주세요" 홍보를 하였다. 그간의 소희와 앞으로의 각오를 간단히 매스컴에 실어 보았다. 10만 돌파에는 느껴보지 못했던 기쁨과 함께 제 블러그가 방문객 20만명을 돌파했어요 드디어 저.. 자작시, 자작 수필 2011.06.30
최저가낙찰제의 폐해 및 개선 방향----5 Ⅵ. 결론 및 최저가낙찰제의 향후 운용 방향 1. 결론 : 최저가낙찰제의 확대 적용을 유보하고, 건설업체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가격경쟁보다 기술경쟁 확대 필요 원칙적으로 국가예산으로 집행하는 공공건설 공사의 입찰에서 가격에 의한 경쟁이 필요하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공공.. 자작시, 자작 수필 2011.05.16
최저가낙찰제의 폐해 및 개선 방향----4 Ⅴ. 해외 사례 1. 미 국 미국에서는 부패방지, 경쟁 촉진 등을 위해 1860년대 이래 최저가낙찰제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왔으나, 1994년 FASA Federal Acquisition Streamlining Act) 제정을 계기로 최고가치(Best Value)를 지향하는 쪽으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졌다. 미국 연방 조달청의 경우, 현재 전체의 약 20% 정도만 최저.. 자작시, 자작 수필 2011.05.13
최저가낙찰제의 폐해 및 개선 방향---3 Ⅳ. 공공공사 입찰에서 최저가낙찰제의 폐해 및 문제점 1. 경제학적 측면에서 최저가낙찰제의 문제점 ◆ 실질적인 예산절감효과의 불확실 최저가낙찰제의 가장 큰 장점으로서 제기되고 있는 예산절감에 대해서 그 실질적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상태이다. 건설업체에서는 우선 덤핑으로 수주한 이후, .. 자작시, 자작 수필 2011.05.11
최저가낙찰제의 폐해 및 제도 개선방향---2 Ⅲ. 최저가낙찰제 적용대상 확대의 예상 파급 효과 1. 최저가낙찰 대상 공사의 급증 전망 2006년 5월 최저가낙찰제 대상공사가 300억원 이상의 모든 공사로 확대됨에 따라 2007년부터 최저가낙찰제 대상 물량이 크게 증가해 현재 최저가낙찰제 대상공사는 20조원 수준으로서, 전체 공공공사 계약액의 50% .. 자작시, 자작 수필 2011.05.09